리니지프리서버 커뮤니티 추천 드립니다

리니지프리서버 커뮤니티 추천 드립니다

Rating

0 out of 5
리니지프리서버 https

Total

0
0 out of 5

Overview

  • Type: 리니지프리서버
  • Retailer: 리니지프리서버
  • Release Date: January 01, 1970
  • Pros:

    리니지프리서버
    https://saddmussoc.org/

  • Cons:

    리니지프리서버
    https://saddmussoc.org/

  • Conclusion:

    리니지프리서버
    https://saddmussoc.org/

안녕하세요 리니지프리서버  여러서버 존재합니다 ….

하지만 하루만 가고 없어지는서버가 너무 많이 존재 하기에  여러서버를 찾다가 좋은서버를 이용하셔야합니다

하지만 좋은서버를 찾기가 쉽지않는것은 사실입니다  서버가 하루만 이용해도 문이 닫기기 때문에 좋은서버를 찾으셔야합니다

안전하고 좋은 리니지프리서버 를찾기위해서 노력을하셔야합니다 좋은서버는 추천합니다 리니지프리서버 

꼭 좋은서버를 찾길바랍니다 …좋은서버는 여러분들 바로 앞에있습니다

주소는 : https://saddmussoc.org/

최고의 리니지프리서버 커뮤니티 입니다 ….  자주 이용하시고 즐기시길바랍니다

ㅁ프리서버를 켠다
① ‘C:\Lin1Server’로 이동합니다.
② ‘ServerStart.bat’ 파일을 더블 클릭해서 실행합니다.
③ 도스 창이 열린 뒤 ‘Server Manager’ 창이 열립니다. ‘Server Manager’ 창에서 ‘메뉴’를 클릭한 뒤 ‘서버 시작’을 클릭합니다.
④ 도스 창에 아래처럼 나오면 성공입니다.
│서버 세팅 : 서버 소켓 생성
│☞ EXP : 100.0배 ☞ Lawful : 2.0배 ☞ Karma : 2.0배
│☞ 드롭율 : 2.0배 ☞ 취득 아데나 : 10.0배
│☞ 전체 채팅 가능 레벨 : 30
│☞ Non-PvP 설정 : 무효 (PvP 가능)
│☞ 접속 인원수 제한 : 최대 100인
│=============================================== ==
│ For All User…
│ Modify By NELL.
│=============================================== ==
│loading map…OK! 610ms
│spawning mob…OK! 3594ms
│loading npcaction…OK! 1235ms
│loading boss cycle…OK! 297ms
│loading TreasureBox…OK! 109ms
│로딩 완료
│──────────────
│☞ 이용 메모리 : 89MB
│☞ 클라이언트 접속 대기중…
│──────────────
⑤ ‘Server Manager’ 창에서 ‘메뉴-서버 종료 – 서버 지금 종료’를 선택해서 서버를 닫습니다.
⑥ 이것은 추천 사항입니다. ‘ServerStart.bat’ 파일을 마우스 오른 클릭하고 ‘바로 가기 만들기(S)’를 선택합니다. 만들어진 바로 가기를 바탕화면에 붙여 넣습니다.

여기까지 성공했다면 서버 구축에 성공한 겁니다. 축하 드립니다. 혹시 위쪽 내용처럼 성공 메시지가 나오지 않고 대신 알 수 없는 메시지를 도스 창이 쏟아 낸다면 뭔가 문제가 있는 겁니다. 서버는 문제가 있으면 종종 그런 증상을 보입니다. 그 영문 에러 메시지를 PrintScreen키로 스샷해서 구축 Q/A 게시판에 올리세요. 운이 좋다면 해결 방법을 쉽게 찾을 것입니다. 독감과 말라리아 그리고 뎅기열이 같은 증상을 보이지만 전혀 다른 병이듯… 하나는 쉽게 낫지만 둘은 생명을 앗아가는 병이니까요. 그렇듯, 서버가 보이는 증상도 같아 보이지만 내용은 제각각입니다. 정확한 에러 메시지를 알려 주는 것이 문제 해결을 위한 지름길입니다.

이제 리니지 프리서버에 접속해 보겠습니다.

10.리니지 클라이언트 2.70을 구한다
리니지 클라이언트란?
흔히 리니지 홈피에서 다운 받는 것이 리니지 클라이언트입니다. 넬펙에서 쓰는 리니지 클라이언트는 현재 리니지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는 리니지 클라이언트보다 약간 구(옛)버전입니다. 2.70 버전입니다. Setup할때 2.70이라는 숫자가 나오는 버전이죠. 그 클라이언트를 쉽게 무료로 주민등록번호 묻는 회원가입 없이 다운 받을 수 있는 곳은 전혀 없는 듯 합니다. 그런 이유로 딱히 추천해 드릴 만한 다운로드 싸이트가 없습니다. 이곳 mmogbiz에 올릴 수도 있지만 1.8GB인 리니지 클라이언트를 2MB 크기로 분할 압축한 900개의 첨부 파일로 만들어 올리는 것은 무리일 듯 합니다. 보통 음악 파일의 크기가 3MB 이상이기 때문에 불법 공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2MB의 합리적인 크기 제한을 둡니다. 따라서 mmogbiz에서 다운 받는 것은 무리일 듯 하고, 다른 영화나 음악 파일 다운 받는 곳에서 구하기를 추천합니다. ‘리니지 클라이언트 2.70’을 검색하면, Setup 파일이거나 설치된 리니지 폴더를 압축한 형태로 구할 수 있을 겁니다.
① 요령껏 리니지 클라이언트 2.70을 구합니다.
② 설치하거나 압축을 푼 리니지 클라이언트 폴더를 C드라이브(C:\)로 옮기고 ‘Lin1Client’라고 이름을 고칩니다. 혹시 모르니 복사본을 남겨 두는 것도 좋습니다. 이것은 추천사항입니다.

11.리니지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 한다
① 다운 받은 리니지 클라이언트 2.70의 폴더를 열고 ‘lineage.exe’라는 리니지 접속기를 찾습니다.
② 그 접속기를 더블 클릭으로 실행 시킵니다.
③ 이용자 동의서에 동의하고 나면, 업데이트 파일 받기가 시작 됩니다.
④ 잠시 후 알림 창이 뜨면서 ‘다시 실행 시켜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⑤ 업데이트가 끝났습니다. 더 이상 ‘lineage.exe’로 업데이트를 받으면 안 됩니다.

12.리니지 접속기… 꼭 넬팩에 포함 된 거를 찾는다
① 넥팩 폴더인 ‘C:\Lin1Server’로 가서 ‘Lin270.exe’ 파일을 찾습니다.
② 그 파일을 복사해 리니지 클라이언트 폴더인 ‘C:\Lin1Client’에 붙입니다.
③ 시작 – 실행(R)을 선택하고, 나오는 창에 cmd라고 칩니다. 도스 창이 뜨면 ‘ipconfig’라고 치고 엔터키를 누릅니다. 혹은, 도스 창을 여는 대신 이 곳에 첨부한 temp.zip 파일에 포함 된 ip.bat를 실행 시킵니다.
④ 도스 창에 나온 값 중 ‘IP Address’값이 자기 컴퓨터의 ip입니다. 기억 합니다.
⑤ ‘C:\Lin1Client’에 붙이기 한 ‘Lin270.exe’ 파일을 마우스 오른 클릭해서 ‘바로 가기 만들기(S)’를 선택합니다.
⑥ 만들어진 ‘바로 가기’를 마우스 오른 클릭해서 ‘속성(R)’을 선택합니다.
⑦ 바로가기 탭의 ‘대상(T)’의 값이 ‘C:\Lin1Client\Lin270.exe’일 겁니다. ‘C:\Lin1Client\Lin270.exe’ + 빈칸 + 자기 컴퓨터의 ip + 빈칸 + ‘2000’의 형식으로 바꿉니다. 예를 들어서 ‘C:\Lin1Client\Lin270.exe 192.268.10.2 2000’으로 바꿉니다. 빈칸 뒤 마지막에 붙이는 ‘2000’은 포트넘버입니다. 꼭 붙이세요.
⑧ ‘확인’ 버튼을 눌러 창을 닫습니다.
⑨ 이 ‘Lin270.exe의 바로가기’를 다시 복사해서 바탕 화면에 붙여 넣습니다. 추천 사항입니다. 리니지 프리서버는 이 바로가기를 통해서 접속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본서버로 접속 됩니다.
⑩ 혹시 나중에 ‘대상을 찾지 못했습니다’ 등의 에러 메시지가 바로 가기 실행 시 나오면 큰 따옴표를 붙여서 ‘”C:\Lin1Client\Lin270.exe” 192.168.10.2 2000’식으로 대상(T)의 값을 바꾸세요. temporary는 큰 따옴표 없이도 바로 가기가 잘 실행 되네요.
⑪ 자기 컴퓨터에서 서버 돌리면서 혼자 하는 분이라면 ip 주소에 ‘127.0.0.1’를 쓰세요. 그게 더 좋습니다. 여기서 적어 주는 ip 값은 프리서버의 ip 주소입니다. 종종 유동 ip 인터넷 서비스를 받는 분은 컴퓨터를 끄고 켤 때마다 자기 컴퓨터의 ip가 달라집니다. 그럴 경우 그 때마다 바뀐 ip를 확인하는 것 보다 자신의 컴퓨터를 뜻하는 ‘127.0.0.1’의 ip 값을 쓰는 게 더 좋습니다. 예를 들면 ‘C:\Lin1Client\Lin270.exe 127.0.0.1 2000’입니다.

넬펙 v.1084에서는 웹쉐어와 hosts파일-수정이 필요 없습니다. 13~15번의 글은 다른 접속기를 사용하는 분을 위한 겁니다. 바로 16번 글로 가세요. 혹시나 16번에서 안 되면 13~15번을 해보세요.

13.웹쉐어를 다운 받아 깐다
웹쉐어(WebShare)란?
작은 크기의 파일-서버입니다. 여기서는 게임가드 서버를 우회하기 위해 hosts 파일과 함께 사용됩니다.
① 웹쉐어 홈페이지에 가서 ‘내려받기’ 란의 ‘Berryz WebShare 최신 안정 버전’ 아래의 ‘Lite version (실행파일만)’의 오른쪽 ‘Download WebShare.exe’ 링크를 클릭합니다.
② 그 파일을 C드라이브(C:\)에 다운 받습니다.
③ 아래 첨부한 temp2.zip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④ 압축을 풀고 그 안에 들어 있는 ‘nprotect’ 폴더를 C드라이브(C:\)로 옮깁니다.

14.웹쉐어를 켠다
① C드라이브에 다운 받은 ‘WebShare.exe’를 더블 클랙해서 실행 시킵니다. 왼쪽 위의 버튼이 ‘켜짐’ 상태이면 성공입니다. 혹시 ‘꺼짐’ 상태라면 버튼을 한 번 눌러서 ‘켜짐’ 상태로 만듭니다. 만약 자신의 컴퓨터에서 IIS등의 다른 웹서버가 작동 중이라면 포트 80이 중복 되기 때문에 웹쉐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것입니다. 다른 웹 서버가 있다면 체크하고 꺼주세요.
② 웹쉐어에서 ‘공유 추가’ 버튼을 누릅니다.
③ ‘폴더 찾아보기’ 창이 뜹니다. 아까 다운 받은 ‘nprotect’ 폴더를 찾아 선택한 다음 확인을 누릅니다.

15.Hosts파일을 고친다
① ‘C:\WINDOWS\system32\drivers\etc’ 폴더에 있는 ‘hosts’ 파일을 찾아서 메모장으로 엽니다. 마우스 오른 클릭하면 메모장으로 열기 선택이 나옵니다.
② 파일을 열면 맨 마지막 줄에 ‘127.0.0.1 localhost’라고 써 있을 겁니다. 그 아래 줄에 ‘127.0.0.1 nProtect.plaync.co.kr’라고 추가하고 엔터키를 친 뒤, 또 그 아래 줄에 ‘127.0.0.1 nProtect.ncsoft.co.kr’라고 추가합니다. 여기서 ‘127.0.0.1’은 자기 컴퓨터 ip 주소를 뜻합니다. 아까 12번에서 도스창으로 확인한 자기 컴퓨터의 ip 주소를 넣어도 됩니다. 만약 웹쉐어가 다른 컴퓨터에 있다면 그 컴퓨터의 ip 주소를 넣어야 합니다.
③ ‘파일(F) – 저장(S)’로 저장한 다음 창을 닫습니다.
④ 리니지 클라이언트가 설치 된 폴더(C:\Lin1Client)로 가서 ‘GameGuard’ 폴더를 지웁니다. 혹은 ‘GameGuard원본’으로 폴더 이름을 바꿉니다.
⑤ 이제 리니지 접속기를 실행하면 웹쉐어로 부터 GameGuard 파일들을 다운 받게 됩니다.

16.프리서버에 접속한다
벌써 마지막 관문에 도착했습니다. 화이팅.
① 넬펙 프리서버를 켭니다. ‘C:\Lin1Server’ 안의 ‘ServerStart.bat’를 실행 시키거나, 바탕 화면에 복사한 ‘ServerStart.bat’의 바로 가기를 실행 시킵니다. ‘메뉴’에서 ‘서버 시작’을 누른 뒤 도스 창을 보며 ‘클라이언트 접속 대기중’ 메세지가 나오기를 기다립니다.
② ‘Lin270.exe’의 바로 가기로 리니지를 켭니다. 혹은 바탕 화면에 복사한 바로 가기를 실행 시킵니다.
③ 잠시 후 로그인 화면이 나옵니다. 만약 ‘현재 이 서버는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다른 서버를 이용해 주세요’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바로 가기에서 서버 ip를 잘못 적거나 서버가 작동하지 않는 겁니다.
④ account: ‘admin’으로 password: ‘admin’으로 쓰고 로그인 합니다. 만약 화면이 넘어 가지 않고 그대로 멈추어 있다면, 서버 ip를 잘못 적은 경우입니다. ‘126.0.0.1’등등으로 적으면 이런 상황이 생깁니다. 또는 다른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Welcome to L1J-JP Korean Server!’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일단 로그인 성공입니다.
⑤ 캐릭서 선택 화면이 나옵니다. 아무 캐릭터나 선택해서 3분 정도 플레이합니다. 가끔 접속해서 플레이 하다가 게임핵 발견으로 팅기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⑥ 혹시 접속에 실패하면, 꼭 ‘넬팩 안에 포함 된’ 접속기인지 확인하고 리니지 클라이언트 폴더인 ‘C:\Lin1Client’에 가서 ‘Lin.Bin’ 파일을 이름을 ‘Lin원본.bin’으로 바꿉니다. 여기 첨부한 LinBin.zip 파일을 다운 받고 압축을 풉니다. 압축을 푼 ‘Lin.Bin’ 파일을 리니지 클라이언트 폴더인 ‘C:\Lin1Client’에 넣습니다. 그리고 서버 접속을 시도해 보세요.

여기까지 모두 마치셨다면 구축에 성공한 겁니다. 축하 드립니다. 재밌게 플레이하세요. 아래는 몇가지 도움이 될만한 팁들입니다.

●팁1: 패키지를 수정하기(팁7번이 더 쉽긴 합니다만 팁1은 수정의 예입니다)
temporary의 경우 플레이하다 보면 팅깁니다. 이때 서버의 도스 창을 보면 ‘l1j.server.server.model.AcceleratorChecker doDisconnect 정보: 가속기 식별을 위해 기사을(를) 강제 절단 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이건 temporary가 2.0GHz의 CPU를 1.33배로 가속해 쓰는 게 원인 같습니다. 그리고, 한 컴퓨터에서 서버과 리니지를 같이 실행하는 것도 원인 같습니다. 어쨌든, 오토를 단속하는 장치 같은데 이게 엉뚱하게 temporary를 자른다는 게 문제입니다. 패키지를 수정해 보겠습니다. 수정을 위해선 먼저 자바 설치시 <세 번째> 방법의 JDK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 일단 프리서버를 종료합니다.
① ‘내 컴퓨터’를 열어 넬팩 폴더(C:\Lin1Server)를 찾습니다. 거기에 소스도 있습니다. ‘C:\Lin1Server\src\l1j\server\server\model’로 이동합니다. ‘AcceleratorChecker.java’ 파일을 메모장으로 엽니다.
② ‘유익 플레이어를 절단 했을 경우는 2를 돌려준다.’라는 주석 아래 보면, 그러니까 위에서 부터 108번 째 줄에 ‘doDisconnect();’이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 부분 앞에 ‘//’라고 덧붙입니다. 이 줄을 주석처리 하는 겁니다.
③ 파일(F) – 저장(S)로 저장하고 창을 닫습니다.
④ 시작 – 실행(R)을 선택하고, 나오는 창에 cmd라고 칩니다. 도스 창이 열립니다.
⑤ ‘cd\’라고 치고 엔터키를 누릅니다.
⑥ ‘cd Lin1Server’라고 치고 엔터키를 누릅니다. 여기는 넬팩 폴더 입니다.
⑦ ‘jar xf l1jserver.jar’라고 치고 엔터키를 누릅니다. 압축 풀기입니다.
⑧ ‘javac -cp l1jserver.jar src/l1j/server/server/model/AcceleratorChecker.java’라고 치고 엔터를 누릅니다. 잠시 후 에러 메시지가 없다면 성공입니다. 수정한 파일의 컴파일입니다.
⑨ 다시 윈도우즈 창을 봅니다. 아까 텍스트 파일을 수정한 ‘C:\Lin1Server\src\l1j\server\server\model’ 폴더일 겁니다. 새로 생긴 class 파일 세 개가 있습니다. ‘AcceleratorChecker.class’과 ‘AcceleratorChecker$1.class’, ‘AcceleratorChecker$ACT_CLASS.class’입니다. 이 파일들 세 개를 ‘ctrl’키를 누른 채로 동시에 모두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 클릭해서 ‘잘라내기(T)’ 합니다.
⑩ 다시 넬팩 폴더(C:\Lin1Server)로 이동합니다. ‘l1jserver.jar’ 파일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 클릭해서 ‘이름 바꾸기(M)’을 선택합니다. ‘l1jserver원본.jar’으로 이름을 바꿉니다.
⑪ 넬팩 폴더 안에서 ‘l1j’ 폴더를 찾습니다. 폴더를 열어서 최종적으로 ‘C:\Lin1Server\l1j\server\server\model’로 이동합니다. 거기에 잘내 낸 파일을 붙여 넣습니다. 빈 칸에 바우스 오른 클릭하고 ‘붙여넣기(P)를 하면 됩니다. 기존 파일을 바꾸겠냐는 경고에 ‘모두 예(A)’를 선택합니다.
⑫ 다시 도스 창으로 갑니다. ‘jar cmf META-INF/MANIFEST.MF l1jserver.jar l1j’라고 칩니다. 압축하는 겁니다. 잠시 후 에러 없이 끝나면 성공입니다. 넬팩 폴더로 가면 새롭게 ‘l1jserver.jar’ 파일이 생겼습니다.
⑬ 패키지 수정이 끝났습니다. 서버를 다시 실행합니다. temporary의 경우, 문제가 말끔히 사라졌습니다. 패키지 수정은 이런 식으로 하면 됩니다.

●팁2: MySQL을 수동으로 실행되게 하기
프리서버를 하지 않을 때에도 MySQL은 자동 실행 되며 컴퓨터의 리소스를 좀 먹습니다. MySQL을 수동으로 시작되도록 하겠습니다. 수동으로 고친 뒤엔 MySQL – 프리서버 순서로 시작하면 됩니다.
① ‘시작 – 설정(S) – 제어판(C)’를 엽니다.
② ‘관리 도구’를 열고 ‘서비스’를 엽니다.
③ 오른쪽 목록에서 ‘MySQL’을 찾습니다. ‘MySQL’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 클릭한 뒤 ‘속성(R)’을 선택합니다.
④ ‘중지(T)’ 버튼을 누릅니다. 잠시 후 ‘서비스 상태: 시작됨’에서 ‘서비스 상태: 중지됨’으로 바뀝니다. ‘시작 유형(E)’의 오른쪽 드랍박스를 열어서 ‘수동’을 선택합니다.
⑤ ‘확인’ 버튼을 눌러서 창을 닫습니다. ‘서비스’ 창과 ‘관리 도구’ 창도 닫습니다. 이제 MySQL 서버는 정지된 상태이며 컴퓨터가 다시 시작해도 MySQL 서버는 시작하지 않습니다.
⑥ MySQL을 시작하려면 ‘시작 – 설정(S) – 제어판(C)’를 열고 ‘관리 도구’를 열고 ‘서비스’를 엽니다. 오른쪽 목록에서 ‘MySQL’을 찾습니다. ‘MySQL’을 선택하고 그 왼쪽의 ‘서비스 시작’을 누릅니다. 그러면 다시 MySQL이 시작됩니다. 끌 때는 ‘서비스 중지’를 누릅니다.
※ MySQL을 서비스가 아닌 application으로 더 간단히 시작할 수 있는데, 방화벽을 해제해야 하므로 보안 상의 위험도를 잘 모르겠어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방법은 ⑥번 대신 여기 첨부한 temp.zip 파일 안에 포함 된 ‘MySQLstartup.bat’ 파일로 시작하는 겁니다. 파일을 실행 한 뒤 ‘Windows 보안 경고’ 창에서 ‘차단 해제(U)’를 한 번 누르면, 다음부터는 ‘MySQLstartup.bat’ 파일 실행만으로 MySQL 서버가 시작 됩니다. 시작 된 뒤 도스 창을 닫아도 됩니다. 끌 때는 ‘Ctrl+Alt+Del’키를 눌러서 ‘Windows 작업 관리자’ 창을 열고 ‘mysqld-nt.exe’를 선택하고 ‘프로세스 끝내기(E)’를 누르면 됩니다. 그리고 프로세스를 종료하겠냐는 창이 뜨면 ‘예(Y)’를 누르면 MySQL 서버가 종료 됩니다.

●팁3: 패키지를 교체하기
넬펙을 높은 버전의 패키지로 교환하는 방법입니다. 혹은 다른 팩으로 교환하기입니다.
① 서버를 종료합니다.
② 넬팩 폴더(C:\Lin1Server)의 이름을 바꿉니다. 넬팩 폴더를 찾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 클릭해서 ‘이름 바꾸기(M)’을 선택합니다. ‘Lin1Server 넬팩1084’로 이렇게 바꿉니다.
③ DB ‘l1jdb’를 지웁니다. ※주의사항: DB를 지우면 저장된 모든 정보가 다 사라집니다. 캐릭터 레벨업한 것, 장비 세팅한 것 등등. ※참고사항: 만약 넬팩의 버전 수정이 작은 범위에서 이루어 졌다면, DB를 지우고 다시 설치하는 과정 없이 새 버전의 넬팩이 작동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다운 받은 넬팩 패키지 프리서버 폴더만 교체하면 됩니다. 하지만 넬팩의 버전 ‘UP’ 수정에 따라 DB의 구조도 바뀌기 때문에 기존 DB를 쓴다면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게 됩니다. 넬팩 외의 다른 패키지에서는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더 크게 됩니다. DB를 지우고 새로 설치하면서 기존의 정보를 그대로 가져오는 방법이 있긴 하지만, 그것은 자바를 전공하신 분이 따로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서야 가능합니다. 자바를 전공하셧다면 한 번 도전해 보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수동으로 하는 방법>
㉠ 이 곳에 첨부한 temp.zip 파일을 다운 받아 압축을 풀면 DeleteDB.bat 파일이 있습니다. 그 파일을 실행합니다. 단, MySQL 설치시 ‘Include Bin Directory in Windows PATH’를 체크 했어야 합니다. 그냥 실행 해보고 만약 안 된다면 그 파일을 ‘C:\Program Files\MySQL\MySQL Server 5.0\bin’ 폴더로 옮기고 실행합니다. 실행 후 DB가 지워졌을 겁니다.
<도스 창에 타자하며 수동으로 하는 방법>
㉠ 이 방법도 MySQL 설치시 ‘Include Bin Directory in Windows PATH’를 체크 했어야 합니다. 만약 안 했다면 도스 커맨트 프롬프트의 폴더 위치를 ‘C:\Program Files\MySQL\MySQL Server 5.0\bin’ 폴더로 옮기고 합니다.
㉡ 시작 – 실행(R)을 선택하고, 나오는 창에 cmd라고 칩니다.
㉢ ‘mysql -u root’라고 치고 엔터키를 누릅니다.
㉣ ‘DROP DATABASE IF EXISTS l1jdb;’라고 치고 엔터키를 누릅니다. ‘;’를 빼먹지 마세요. 그리 ‘l1jdb’의 대소문자를 정확히 구분해서 쓰세요. ‘l1jdb’의 첫글자는 소문자 L(엘)입니다.
㉤ 에러 없이 끝난 뒤 ‘exit’라고 치고 엔터키를 누릅니다. 도스 창을 닫습니다. 끝났습니다.
<NaviCat에서 하는 방법>
㉠ NaviCat을 실행시킵니다. 바탕 화면의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시작-프로그램(P)-PremiumSoft-Navicat 8.0 Lite for MySQL-Navicat Lite for MySQL를 클릭합니다.
㉡ 창이 열리면 왼쪽 패널 안의 ‘localhost’를 선택합니다. 그것을 더블 클릭하거나, 마우스 오른 클릭 후 Open Connection합니다.
㉢ ‘localhost’ 아래 아이콘들이 열리고 ‘l1jdb’가 있을 겁니다. 그 ‘l1jdb’를 선택한 뒤 마우스 오른 클릭 후 ‘Drop DataBase’를 선택합니다.
㉣ ‘Are you sure? …’ 창에서 ‘Yes’ 버튼을 누릅니다. 잠시 후 DB가 지워졌습니다.
<–DB 지우기가 끝났습니다.–>
④ 새로운 넬팩 (혹은 다른 팩)을 다운 받습니다. 압푹을 풀고, 그 압축 푼 폴더를 C드라이브(C:\)로 옮긴 뒤 폴더 이름을 ‘Lin1Server’로 고칩니다.
⑤ DB ‘l1jdb’를 새로 만들고 내용을 채웁니다. 자세한 방법은 이 글의 ‘8.DB를 채운다’를 참고하세요. 단, <수동으로 하는 법>을 참고하신다면 ‘CreateDB.bat’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고 ‘l1jdb(revision_1084).sql’ 라는 파일 이름을 넬팩 폴더 안에 포함된 sql 파일 이름으로 알맞게 수정해 주서야 합니다. <도스 창에 타자하며 수동으로 하는 법>도 마찬가지 입니다.
⑥ 그리고 나머지는 똑같습니다. 단, 넬팩 버전이 올라감에 따라 선택된 접속기가 달라지는 등 이 글과 다른 부분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면 temporary가 또 다른 구축 성공기를 쓰겠죠.

●팁4: 도스창에 나오는 에러 메시지를 쉽게 복사하기
문의할 때 에러 메시지를 복사해서 게시판에 붙여 넣으면 정확한 진단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① 에러 메시지가 나온 상태에서 도스 창의 헤드head(머리, 위쪽 줄) 부분을 마우스 오른 클릭합니다.
② ‘편집(E) – 모두 선택(S)’를 선택합니다.
③ 다시 도스창의 헤드head를 마우스 오른 클릭해서 ‘편집(E) – 복사(Y)’를 선택합니다. 복사 되었습니다.
④ 복사 된 내용을 이 곳 게시판이나 메모장 등에 붙여 넣기 합니다. Ctrl + V 키를 해도 되고 빈칸에 마우스 오른 클릭해서 ‘붙여넣기(P)’를 해도 됩니다.

●팁5: 운영자 모드 쉽게 하기
운영자 모드는 DB를 수정해 주어야 하는데, 이 구축 성공기대로 하셨다면 여기 첨부한 DB수정하는배치파일(2개).zip을 받아서 압축 풀고 ‘운영자모드하기.bat’ 파일을 실행해 보세요.실행한 다음에는 프리서버를 껐다 켜세요. 그렇게 하면 ‘admin’ 계정의 모든 캐릭들이 운영자 모드가 됩니다.

●팁6: ‘가속기 사용 강제 절단’을 해제 하기
주로 자기 컴퓨터(127.0.0.1)로 하는 경우 서버 화면에 ‘가속기 사용으로 강제 절단’이라는 메시지가 나오며 게임이 끝나는 일이 있습니다. 해결법은 간단히 파일을 열고 설정 몇개를 바꾸어 주는 것입니다. 설치된 팩(혹은 서버)의 폴더를 보면 ‘config’ 폴더가 있습니다. 그 안을 보면 ‘server.properties’라는 파일이 있습니다. 이 파일을 마우스 오른 클릭해서 메모장으로 여세요. 그 안을 보면
================================================== =
# 가속기 식별 기능을 사용할까. True로 했을 경우 ON가 되어, 패킷 송신 간격이 체크되게 된다
# Move: 이동 간격 Attack: 공격 간격 Spell: 스킬 사용 간격
CheckMoveInterval = False
CheckAttackInterval = False
================================================== ==
이런 부분이 있습니다. 이 두 값을 False로 바꾸고 파일을 저장한 뒤, 서버를 꼈다 켜면 됩니다. ‘CheckMoveInterval = False’, ‘CheckAttackInterval = False’로 하면 됩니다. 보통 초기 값은 True일 겁니다.

●팁7: 단번에 패키지의 자바소스 컴파일 하기
하다 보면 패키지 수정을 위해 자바소스를 컴파일 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팁1보다 더 쉬운 방법이 있습니다.
① 먼저 자바소스컴파일하기.zip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② 넬팩 폴더(아마도 이 글을 따라 했다면 ‘Lin1Server’ 폴더) 안을 보면 ‘src’ 폴더가 있습니다. 다운 받은 파일의 압푹을 풀고 그 ‘src’ 폴더 안에 넣습니다. 그러면 이미 있었던 ‘l1j’ 폴더, ‘META-INF’ 폴더와 함께 새로 추가된 폴더 1개와 배치(bat) 파일 5개가 있게 됩니다.
③ 다시 한 단계 위인 넬팩 폴더(Lin1Server)로 가서 그 안의 ‘lib’ 폴더를 복사한 다음 다시 ‘src’ 폴더 안에 붙여 넣습니다. 단, 여기서 잘라내기로 붙여넣기 하면 안 됩니다. 패키지의 서버 자체가 그 ‘lib’ 폴더를 쓰기 때문에 컴파일을 위해서는 따로 복사된 ‘lib’ 폴더를 써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제 모든 준비가 끝났습니다. 이 상태에서 ‘src’ 폴더 안에 있는 ‘SCJC.bat’ 파일을 찾습니다. 이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classpath’ 환경변수 설정에서, 자바 컴파일, jar 압축, 파일 복사까지 단번에 끝납니다. 물론, 이렇게 끝내기 전 ‘l1j’ 폴더를 열고 그 안의 자바 파일을 수정했겠죠. 에러가 나온다면 ①부터 ③과정을 다시 확인해 보세요. 자바 파일 수정 도구(IDE)는 각자의 취향인데 전문적으로 자바를 하는 게 아닌 temporary는 그냥 메모장을 씁니다. 아래 ④번부터는 자바를 공부해 보고 싶은 분들을 위해 좀 더 수동화된, 단 번에 끝내지 않고 단계 별로 하는 방법입니다.

④ 시작 – 실행(R)을 선택하고, 나오는 창에 cmd라고 칩니다. 엔터를 치거나 확인 버튼을 누르면 검은 색 도스창이 나옵니다.
⑤ 이제 경로를 넬팩 폴더(Lin1Server)의 ‘src’ 폴더까지 이동해야 합니다. ‘cd\’라고 입력 후 엔터를 칩니다. ‘\’ 글자는 백스페이스(←) 키의 왼편, 엔터 키의 위편에 있습니다. 보통 ‘₩’ 모양으로 보입니다. ‘cd Lin1Server’이라고 입력 후 엔터를 칩니다. 다시 ‘cd src’라고 입력 후 엔터를 칩니다. 그러면 전체 경로가 ‘C:\Lin1Server\src>’라고 표시됩니다.
⑥ ‘SetClassPath’를 입력 후 엔터를 칩니다. 이것은 컴파일 때 필요한 Class Library에 이르는 경로(path)를 설정해 줍니다. 도스창에 표시 되는 메시지는 아까 복사한 ‘lib’ 폴더 안의 ‘lc3p0-0.9.1.2.jar’ 파일과 ‘javolution.jar’ 파일을 사용한다는 내용입니다.
⑦ ‘CompileAll’를 입력 후 엔터를 칩니다. 이것은 ‘l1j’ 폴더 안에 모든 폴더의 자바 파일을 각각 컴파일 해 줍니다. 해보니 각 java 파일이 import로 연결 안 된 경우(섬처럼 붕 뜬 경우)가 있어서 어느 한 곳만 컴파일 해주는 것으로는 전체 컴파일이 안 되네요. 그래서 모든 폴더의 자바 파일을 각각 컴파일하게 했습니다. ‘CompileAll’과 ‘CompileAll2’는 차이가 이습니다. ‘CompileAll’은 ‘l1j’ 폴더 안의 java 파일이 있는 곳에 class 파일을 만들어 냅니다. 반면 ‘CompileAll2’는 ‘CompileAll2’ 폴더 안에 ‘l1j’ 폴더를 따로 만들고 그 안에 class 파일들을 만들어 냅니다. 이 후에 jar로 압푹 할 때 ‘CompileAll’은 java 파일까지 포함해 압축하므로 등치가 커집니다. 반면 ‘CompileAll2’는 class 파일만 포함하므로 등치가 작겠죠. 취향대로 하시면 됩니다.
⑧ ‘JarZip’를 입력 후 엔터를 칩니다. ‘src’ 폴더 안에 ‘l1jserver.jar’ 파일이 생길 겁니다. 그 파일을 한 단계 위인 넬팩 폴더(Lin1Server)에 복사해 넣으면 됩니다. 기존의 ‘l1jserver.jar’ 파일은 그냥 덮어 씌우거나 따로 이름을 바꾸어 원본 파일로 지정해 두면 됩니다. ‘CompileAll2’인 경우는 ‘CompileAll2’ 폴더로 경로 이동 후 그 안에서 ‘JarZip’을 실행 시키면 됩니다. 나머지는 ‘CompileAll’과 같습니다. jar로 압풀 할 때 보니까 ‘META-INF’ 폴더의 ‘MANIFEST.MF’파일을 이용하네요. 이것을 포함해야 서버 실행 시 에러가 안 납니다.
⑨ 서버를 실행시킵니다. 수정된 내용대로 잘 작동하네요.

●팁8: 보스 몬스터 잘 나오게 설정하기
구축한 패키지 폴더 안의 .\data\xml\Cycle 폴더로 가시고 거기서 BossCycle.xml 파일을 찾아서 메모장으로 여세요. 즉, 이 글대로 하셨다면 ‘C:\Lin1Server\data\xml\Cycle\BossCycle.xml’ 입니다. 거기 보면 <Cycle> 태그 안에 Period, Start, End라는 설정값이 있습니다. Period는 얼마 간격으로 보스가 나오는 지입니다. Start는 서버 시작하고 얼마 후에 보스가 나오는 지입니다. End는 보스가 나온 후 얼마 지나고 퇴장하는지 입니다. 예를 들어, 보스가 1분 간격으로 나오고 한 번 나오면 12시간 어슬렁 거리도록 하기 위해 temporary는 파일 내용을 아래와 같이 수정햇습니다. 설정은 취향대로 하시면 됩니다. 혹은, 여기 첨부한 BossCycle.xml 파일을 다운 받아서 덮어 씌우시면 temporary가 설정한 대로 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BossCycleList>
<!– Base(은)는 기준일을 지정하는 경우에 사용. 생략시는Date=서버 기동일,Time=0:00 –>
<!– Cycle(은)는 주기를 지정한다. (각각 일, 때, 분의 편성으로 지정 가능) –>
<!– Period마셔 필수. 생략시는Start=0,End=Period과 동치 –>
<!– 샘플
<BossCycle Name=”Sample1″>
<Base Date=”2008/5/18″ Time=”0:00″ />
<Cycle Period=”1d2h31m” Start=”3h30m” End=”1d5m” />
</BossCycle>
–>
<BossCycle Name=”DK”>
<Base Date=”2008/5/18″ Time=”0:00″ />
<Cycle Period=”1m” End=”12h”/>
</BossCycle>
<BossCycle Name=”Oren”>
<Base Date=”2002/7/23″ />
<Cycle Period=”1m” End=”12h”/>
</BossCycle>
<BossCycle Name=”Aden”>
<Base Time=”1:30″ />
<Cycle Period=”1m” End=”12h”/>
</BossCycle>
<BossCycle Name=”Caspa”>
<Cycle Period=”1m” End=”12h”/>
</BossCycle>
<BossCycle Name=”1Drake”>
<Cycle Period=”1m” End=”12h”/>
</BossCycle>
<BossCycle Name=”2Drake”>
<Cycle Period=”1m” End=”12h”/>
</BossCycle>
<BossCycle Name=”Night”>
<Cycle Period=”1m” End=”12h”/>
</BossCycle>
<BossCycle Name=”Dragon”>
<Cycle Period=”1m” End=”12h”/>
</BossCycle>
<BossCycle Name=”etc1″>
<Cycle Period=”1m” End=”12h”/>
</BossCycle>
<BossCycle Name=”Unknown”>
<Base Date=”2008/5/18″ Time=”0:00″ />
<Cycle Period=”1m” End=”12h”/>
</BossCycle>
</BossCycleList>

 

이만 리니지프리서버  포스팅을 마칩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